놀코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

놀아보자 코드랑

session 3

IT/기술면접 - 웹 아키택처와 WAS(Wep Application Server)

이번 포스팅에서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WAS에 대해 다룬다. 웹 서버(Web Server)와 혼동하는 사례가 잦아, 면접 전에 정리할 필요가 있는 개념이다.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웹 아키택처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려고 한다. ▶ 2-tier 아키택처의 구조도.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DB에 직접 접속한다. 3-tier(혹은 N-tier) 아키택처가 등장하기 전, 웹 애플리케이션들은 주로 2-tier 아키택처를 활용했다. 클라이언트가 직접 서버에 접속하여, 서버의 자원을 활용하는 방식이었으므로 개발이 편리했다. 하지만 2-tier 아키택처에서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안에 취약했고, 유지보수도 어려웠다. 그래서 등장한 것이 3-tier 아키택처이다. ▶ 3-tier 아키택처의 구조도 ..

Study/기술면접 2021.08.11

IT/기술면접 - Servlet, CS, 네트워크, Spring

1. Servlet에 대해 답변해 보세요. Servlet: 자바 플랫폼에서 웹 앱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핵심기술. 컨트롤러와 뷰의 역할 분담이 가능해진다. 자바 API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서버 환경에서 실행 가능하다. 스레드를 기반으로 한다. Servlet Container: Servlet을 서버에서 실행하기 위한 서버 프로그램(서버는 서블릿 자체를 직접 실행할 수 없기 때문). JVM을 내장하고 있다. 2. 서블릿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해 설명하세요. init(): 컨테이너는 서블릿 인스턴스를 생성한 다음 init() 메소드를 호출한다. 이 메소드는 service()메소드 전에 실행되어야 한다.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기 전에 서블릿을 초기화할 기회를 주는것이다. 초기화할 코드가 있다면 i..

Study/기술면접 2021.08.11

21.7.14 Servlet 합치기, Distpatcher, SessionListener, AtrributeListener

참고 깃허브 주소 https://github.com/sblee1031/Kosta/tree/main/ORACLE_DB_THEOTY/Oracle_DB_project/myweb/mybackfrontcontroller4.0 기존에 웹 서블릿을 기능별로 1개의 Java파일로 작성 했었다면, 이제 하나의 FrontContoller의 형태로 작성하기. DispatcherServlet으로 통합. Tomcat 구조 기본 : 톰캣 내장에서는 url패턴을 / 표시일경우 .html, jpg의 경우에는 무시하도록 설정되어있으며, .jsp같은 형식 받도록 내장되어있음. 스프링에서는 prop파일(단순한경우), xml파일(복잡한경우) 설정이 가능하다. @Override public String execute(HttpServletRe..

KOSTA/WEB 2021.07.14